본문 바로가기

아니 에르노

(2)
빈 옷장 | 아니 에르노 | 1984Books 살아낸 글, 살아서 건너오는 글, 그것이 바로 아니 에르노의 문학이 가진 힘 “나는 죽고 싶지 않다.”(p. 229) 했던 목소리를 되뇌며 한참을 사로잡혀 있었다. 토해내듯 숨 가쁘게 이어지는 문장 안에 드리운 드니즈 르쉬르 혹은 아니 에르노의 삶을 향한 결기를 마주했다는 안도감과 이 악물고 버텨온 지난날의 상처가 그럼에도 결코 말끔하게 아물지 못하리라는 슬픔이 일시에 밀려온 까닭이었으리라. “나는 죽고 싶지 않다.” 오직 그것만을 위한 글쓰기였기에 삶과 문학, 그 사이 경계마저 무용한 경이로운 진정성을 보여 준다. “나는 죽고 싶지 않다.” 빅토르 위고나 페기처럼 교과 과정에 있는 작가를 공부해 볼까. 구역질이 난다. 그 안에는 나를 위한 것, 내 상황을 위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지금 내가 느끼는 것..
단순한 열정 | 아니 에르노 | 문학동네 임상적 해부에 버금가는 칼 같은 글쓰기로 치명적인 열정을 진단한 아니 에르노의 대표작 외국인이고 연하이면서 유부남인 사람과 사랑에 빠졌던, 지난날을 떠올린다. 불같은 사랑 앞에서 상대방 외에는 그 무엇에도 집중할 수 없었던 격정적 감정은 지난한 이별과 그것을 망라한 세월 앞에서 차츰 희석되어 감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열정의 한가운데를 지나버린 그녀에게 예전의 그 사람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 것이다. 소재의 특성상 다분히 자기 고백적이고 성찰적이기 마련인데, 특이한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객관화된 시선 안에서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는 데에 있다. 그 놀라운 담담함은 외려 강렬함으로 치환되어 자못 파격적이기까지 하다. 세세하고도 명쾌하게, 그리고 냉정하게 이 모든 감정의 변화를 그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