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와 타인으로부터 소외된
인간의 불안과 공포가 초래한 극단적 범죄
무질서한 전개와 강박적인 말놀이로 그리는
소통 불가능한 현대 사회의 불안한 단면
“이전에 꽤 유명했던 골키퍼였던 요제프 블로흐는 건축 공사장에서 조립공으로 일하고 있었는데, 아침에 일하러 가서는 자신이 해고되었음을 알게 되었다.”(p.9) 이후 호텔과 여인숙, 여관을 전전하며 지내는데, 그 모습은 마치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방랑자와 다름없어 보인다. 그의 생각과 말과 행동 역시 불안과 절망이 영역한 모양새다. 더욱이 우발적인 살인을 저지른 뒤에는 쫓기는 신세까지 되어 어느 누구,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을 수 없는, 그리하여 자신이 놓인 세상에서 철저하게 고립된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그때에 그는 우연히 도착한 운동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오픈게임을 보다가, 때마침 페널티킥이 선언된 순간에 맞닥뜨리게 된다. 골키퍼였던 그에게 키커와의 대치 상황은 그 어떤 때와도 견줄 수 없는 극도의 긴장된 순간이었으리라.
어쩌면 그는 자신이 무수히 겪었던 지난날의 그 순간을 상기하며, 이제 자신을 향해 맹렬하게 날아오는 모든 것들을 자신의 두 손으로 받아낼 차례임을 직시하지 않았을까.
그는 _ 때문에 계속 걸어갔다. 계속 걸어간 이유를 말해야 할까, _하기 위해서라고? 만약 _을 한다면 무슨 목적에서일까? _을 하면서 ‘만약’이라고 하는 이유를 말해야 할까? _을 할 때까지 그렇게 계속 걸어갔나? 그는 _을 할 만큼 그렇게 멀리 갔는가? 왜 그는 쫓기는 것처럼 이곳을 걸어가고 있을까? 왜 그가 여기에 서 있는지 이유를 설명해야 할까? 그가 수영장을 지나갈 때마다 어떤 목적을 가졌단 말인가? 이러한 ‘그래서’와 ‘왜냐하면’, ‘하기 위해’ 같은 단어들은 마치 명령하는 말 같아서 사용하지 않고 피하기로 결심했다. 그의 옆에 있는, 약간 열린 창의 덧문이 활짝 열리는 것 같았다. 생각할 수 있는 것, 볼 수 있는 것들로 온통 꽉 차 있었다. 울부짖는 소리가 그를 놀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익숙한 문장들의 맨 끝에 오는 뒤죽박죽된 문장이 그를 놀라게 했다. - p.116, 117
![]() |
페널티킥 앞에 선 골키퍼의 불안 - ![]()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민음사 |
반응형
'별별책 > 20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너 | 존 윌리엄스 | 알에이치코리아 (0) | 2025.03.29 |
---|---|
무해한 산책 | 헤르만 헤세 | 지콜론북 (1) | 2025.03.22 |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 | 프로데 그뤼텐 | 다산책방 (0) | 2025.03.08 |
사랑에 대하여 | 안톤 체호프 | 민음사 (0) | 2025.03.01 |
무뎌진다는 것 | 투에고 | 로즈북스 (0) | 2025.02.22 |
나의 폴라 일지 | 김금희 | 한겨레출판 (0) | 2025.02.15 |
A가 X에게 | 존 버거 | 열화당 (0) | 2025.02.08 |
나무 | 고다 아야 | 책사람집 (1)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