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시

(10)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 | 이제니 | 문학과지성사 무한을 보고 싶다 분주했다. 여기서 출발했지만 저기서 그칠 것이란 생각을 조금씩 지워가면서 계속적으로 나아가야 했으므로. 내심 기대했던 걸까. “빛보다 빠른 오늘의 너에게”(p.7)라는 그 말을. 헤매었다. 믿어 의심치 않던 것마저 나의 의식을 흔들었기에. 그 흔들림 안에서 기린과 그린, 가지와 앵무, 달과 부엉이, 꽃과 재, 나무의 나무…… 끝없이 계속되는 낱말들이 가지는 의미를 되새김질해 본다. 정녕 알고 있다고 여겼던 그 뜻이 맞느냐고. 점진적으로 속도가 붙는 리듬 안에서 그렇게 자문하며 나는 향해가고 있었다. “무한을 보고 싶다”던 시인의 바람을 곁눈질하며. 매일매일 슬픈 것을 본다. 매일매일 얼굴을 씻는다. 모르는 사이 피어나는 꽃. 나는 꽃을 모르고 꽃도 나를 모르겠지. 우리는 우리만의 입술을..
그 여름의 끝 | 이성복 | 문학과지성사 오랫동안 나는 슬픔에 대해 생각해왔다 사랑을 생각한다. 만남과 이별 사이, 삶의 희열이 충만했던 그 여름을 생각한다. 머지않아 폭풍이 밀려오고 장대비가 쏟아졌던 그 여름을 생각한다. 그 계절, 한복판의 나를 생각한다. 그 여름의 나무 백일홍은 무사하였습니다 한차례 폭풍에도 그 다음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아 쏟아지는 우박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습니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넘어지면 매달리고 타올라 불을 뿜는 나무 백일홍 억센 꽃들이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피로 덮을 때,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 p.117 「그 여름의 끝」 그 여름의 끝 - 이성복 지음/문학과지성사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 | 진은영 | 문학과지성사 그러니까 시는 ‘한 사람을 조금 덜 외롭게 해보려고 애쓰던 시간들이 흘러갔다’는 시인의 말을 곱씹어 본다. 시인은 …조금 덜 외롭게 해보려고 애쓰던 시간…에 그러니까 시를 썼다. 이 땅에서 목도한 슬픔과 절망 그로 인한 고통을 지그시 참고 견디며 함께 이겨내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시를 썼다. 그런 까닭에 시들이 나를, 우리를 깨운다. 함께 애써야 한다고……, 그러기 위해선 마주 잡은 두 손으로 훼손당한 것을 보듬고 끌어안아야 한다고, 사랑해야만 한다고. 그러니까 시는, 진은영 시인의 시는 그렇게 나를 흔들었다. 우리가 절망의 아교로 밤하늘에 붙인 별 그래, 죽은 아이들 얼굴 우수수 떨어졌다 어머니의 심장에, 단 하나의 검은 섬에 그러니까 시는 제법 볼륨이 있는 분노, 그게 나다! 수백 겹의 종이 호랑..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 허수경 | 문학과지성사 영원히 역에 서 있을 것 같은 나날이었다 그러나 언제나 기차는 왔고 나는 역을 떠났다 시계판 속 바늘은 1은 2를 향해, 2는 3을 향해…… 11은 12를 향해, 그리고 12는 다시 1을 향해, 끝없이 반복한다. 그것을 물끄러미 응시하게 되는 순간, 그 찰나에 품었을 나와 당신, 고독과 공허, 사랑과 이별, 삶과 죽음에 대한 시(詩)가 한데 모였다. 잘 지내시길, 이 세계의 모든 섬에서 고독에게 악수를 청한 잊혀갈 손이여 별의 창백한 빛이여 - 「섬이 되어 보내는 편지」 중에서 우리는 알고 있다. 숨이 붙어 있는 한, 시계판의 굴레에서 끝끝내 벗어나지 못할 운명들임을. 그러므로 그 숨이 붙어 있는 한, 어디로든 발걸음을 떼야만 하는 존재들임을. 그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숙명인 것을. 그 앎이 지금 내 영혼..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 이성복 | 문학과지성사 이성복 시인이 1978,79년에 쓴 시를 묶어 1980년에 출간한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스쳐 지나가는 것,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아쉬움의 마음이 요 몇 년 새 급격히 커졌다. 아마도 폴 오스터의 『타자기를 치켜세움』을 읽은 직후, 알게 모르게 그런 마음이 표면적으로 의식화 되기 시작했던 것 같다. 정작 그땐 몰랐지만 사라지고 뒤늦게서야 깨닫게 되는 소중함과 조금 더 아껴줄 걸 싶은 안타까움,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헛헛함은 스쳐 지나갔음에 대한 자책으로 곧잘 연결됐기에 더 마음 쓰이고 아팠던 거라 생각한다. 우연히 스치는 질문 ----- 새는 어떻게 집을 짓는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풀잎도 잠을 자는가, 대답하지 못했지만 너는 거기서 살았다 붉게 물들어 - 3 중에서 그 ..
필 때도 질 때도 동백꽃처럼 | 이해인 | 마음산책 시들지 않고 우아하게 지는 동백꽃처럼 이해인 수녀의 신작 시 100편과 생활 이야기 100편! 동백꽃을 바라보며, 한 송이 동백꽃이 되길 바라는 수녀님. 나는 그분의 따뜻한 이야기가 듣고 싶어졌다. 사실 동백꽃은 우리집에선 일상이고, 흔했다. 어쩌다 보면 활짝 피어있고, 어느 순간 보면 사라져 버린…. 생각해 보면, 채 지기도 전에 여차 저차 한 이유로 떨어져 버린 동백꽃 한 송이가 식탁 위 조그만 그릇 물 위에서 붉게 빛나고 있을 때가 가끔 있던 기억이 난다. 그러면 그제야 동백꽃에 눈길조차 주지 못했었구나, 알아차리기 일쑤였으니. 하지만 그런 마음도 그때 잠시 뿐. 옷이 두툼해지는 시기가 되면 으레 다시 필 것을 알기에 크게 아쉬워하거나 마음 쓰지 못했던 거 같다. 그런 탓에 수녀님의 「한 송이 동백..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윤동주 | 창작시대 언어의 연금술사, 시인 윤동주 언어의 연금술사, 윤동주 시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주옥같은 시들이 가득하다. 근 두 달간 침대 머리맡에 두고 밤마다 한 두 편씩 읽었는데, 잔잔한 듯하면서도 굳센 의지와 자아성찰의 글귀들이 많아 곱씹을 수밖에 없었다. 책장에 두고 오래도록 반복하여 읽을 좋을 시집. 서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와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p.13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전2권) | 정끝별∙문태준 | 민음사 한국 대표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 근래 들어 마음에 드는 시가 하나 둘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시'라는 장르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그러던 중 박완서 작가의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에서 소개된 시집을 보고 구입했다.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는 한국의 대표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을 두 권에 담고 있는데, 여러 시인의 대표작을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해설과 일러스트까지 겸해져서 가까운 곳에 놓고, 두고두고 볼 수 있는 시집이 될 것 같다. 두 권의 시집을 손에 쥐고 있는 동안 김기림의 「바다와 나비」를 비롯해서 박두진의 「해」, 김춘수의 「꽃」, 천상병의 「귀천」 등 학창 시절 배운 시들과 근래 들어 자주 되뇌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