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별책/2023

(52)
식물적 낙관 | 김금희 | 문학동네 문득 일상을 돌보고 싶어지는 가뿐한 전환의 감각 인간사에 초연한 채 계절의 순환하는 존재들이 선사하는 아름답고 느긋한 낙관의 에너지 식물을 돌보면서 마주한 생각들의 기록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일상을 살아가는 위로와 공감을 자아내며 식물적 낙관의 세계로 인도한다. 더러는 이런저런 연유로 시들어 죽어가는 식물들을 마주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거의 죽은 거나 다름없다고 체념하면서도 물을 주며 마음 쓴 일이 결국 봄에 이르러 꽃망울을 터뜨리기도 한다는 것을 배우기도 하면서 말이다. 그 과정 안에서 무엇인가에 애정을 쏟는다는 일이 생각 이상으로 많은 정성과 수고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한다. 또 저자는 “식물을 기를수록 알게 되는 것은, 성장이란 생명을 지닌 존재들이 각자 떠나는 제멋대로의 (때론 달갑지 ..
맡겨진 소녀 | 클레어 키건 | 다산책방 애정 없는 가족으로부터 먼 친척 부부에게 떠맡겨진 소녀가 인생 처음으로 마주하는 짧고 찬란한 여름 부모 사랑을 모르고 자란 소녀가 — 아이가 없는 — 먼 친척 집에서 머물며 마주한 세계는 이전과는 사뭇 달랐다. “아주머니의 손은 엄마 손 같은데 거기엔 또 다른 것, 내가 한 번도 느껴본 적이 없어서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르겠는 것도 있”(p.24, 25)었고, 아저씨가 손을 잡았을 때는 “아빠가 한 번도 내 손을 잡아주지 않았음을 깨닫고, 이런 기분이 들지 않게 아저씨가 손을 놔줬으면 하”(p.69, 70)면서도 “내가 발을 맞춰 걸을 수 있도록 보폭을 줄”(p.70)이고 있는 것을 알아챈다. 그렇게 소녀는 맡겨진 집에서 낯선 감정을 느끼며 “이런 기분을 또 언제 느꼈었는지 기억하려 애쓰지만 그랬던 때가..
침묵 | 엔도 슈사쿠 | 바오로딸 그리스도교 박해의 시련 속에 배교를 강요당한 고뇌의 여정 이교도의 나라 일본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을 뿌리내리게 하고자 선교 활동에 나선 성직자들이 있었다. 1637년 포르투갈 예수회 신부 세바스티안 로드리고가 그중 한 사람으로 동료 신부인 프란치스코 가르페와 함께 마카오를 거쳐 일본으로 향했는데, 거기에는 앞서 떠난 스승 페레이라 신부의 배교 소식에 대한 진위를 살피기 위함도 있었다. 그렇게 엔도 슈사쿠의 『침묵』은 로드리고 신부가 마주해야만 했던 — 그리스도교 박해의 시련 속에 배교를 강요당한 — 고뇌의 여정을 따른다. 그 여정을 밟으며 그리스도교 신앙을 가진 한 사람으로서 자연스레 하느님의 침묵에 대하여 묵상해 본다. “하느님께선 무엇 때문에 이런 괴로움을 내려주십니까?”(p.94) 읍소했던 기치지로의..
에드워드 호퍼 | 롤프 귄터 레너 | 마로니에북스 에드워드 호퍼(1882-1967) 삶과 작품 서울시립미술관에서 한창 가 전시 중이다. 2층과 3층의 전시실을 거쳐 1층 전시실에 들어서면 전면에 걸린 「햇빛 속의 여인(A Woman in the Sun,1961)」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카메라에 담을 수 있는 유일한 유화 작품인데, 한 여인이 침대 옆에 나신의 상태로 서 있고 왼쪽 창 밖으로 초록의 두 언덕이 보인다. 그리고 그녀의 시선이 머물고 있는 — 커튼 자락이 보이는 — 정면 창을 통해 햇빛이 쏟아진다. 그로 인해 불을 밝히지 않은 방 안의 그녀는 마치 무대 위에 유일하게 조명을 받고 있는 연기자처럼 관람객의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이번 전시의 오디오 가이드는 이 작품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강렬하고 밝은 ..
각각의 계절 | 권여선 | 문학동네 무엇을 기억하는가, 어떻게 기억하는가, 왜 기억하는가 우리가 왜 지금의 우리가 되었는지에 대한 권여선의 깊고 집요한 물음 우리가 말하는 기억은 무엇이고 무얼 위한 것인가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된다. 어쩌면 스스로를 살아가게 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써 우리 각자는 기억이란 것을 안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는지, 하는 생각도 해본다. 그리하여 살아갈 힘을 얻기 위한 방향으로 우리의 기억은 나아가고, 때로는 굴절되고 왜곡되기도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함께 한 어느 순간의 일들이 저마다의 기억 속에서 달리 자리하고 있기도 하다고 말이다. 동시에 우리는 기억을 반추하며 퍼즐을 맞춰 나가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 인연을 이어가는 한편 인연의 끈을 놓기 위하여 기억의 파편을 저 멀리 흘러 보내기도 하는 존재들이라는 ..
세상 끝의 카페 | 존 스트레레키 | 클레이하우스 “당신은 왜 여기 있습니까?” 꽉 막힌 도로를 피하려다 길을 잃고 헤매던 중 한 줄기 빛처럼 발견한 세상 끝의 카페. 존은 그곳에서 “당신은 왜 여기 있습니까? 죽음이 두렵습니까? 충만한 삶을 살고 있습니까?” 물으며 생각해 보길 권하는 메뉴판을 앞에 두고 당혹스러워한다. 하지만 그곳에서 만난 케이시와 마이크, 앤과 대화하면서 자신이 걸어온 삶을 되돌아보는 동시에 그간 놓치고 살아온 중대한 깨달음에 이른다. 그런데 그 깨달음이라는 것이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한 새로운 것이 아니다. 대개는 진지하게 정면으로 마주해야 할 삶의 질문들에 대하여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외면하고 있었거나 당장의 처해진 상황 안에서 망각하고 있었을 뿐. 존 역시도 마찬가지였으리라. 다만 그럼에도 이 짤막한 이야기가 의미 있는 것은 그..
젊은 느티나무 –강신재 소설선 | 강신재 | 문학과지성사 강신재 소설선 1950, 60년대 한국의 대표적 여성작가 강신재의 중단편집으로 표제작인 「젊은 느티나무」를 비롯 총 열 편이 실려있다. 여기 등장하는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처해있는 난처한 삶 속에서 제 나름의 돌파구를 찾고자 하지만, 속 시원한 결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그녀들 자신의 나약함 혹은 어리숙함이라기 보다는 가정과 사회 안에서 여성이라는 존재에게 부여되고 허락된 역할의 시대적 한계에서 기인한다고 이해해야 할 성싶다. 다만 그럼에도 그들이 마냥 제 처지를 자조하고 체념하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희미한 희망을 본 듯도 하지만 말이다. 「안개」에서 성혜는 남편의 눈을 피해 쓴 소설이 유명 잡지에 실리자 기뻐하면서도 불쾌해 할 남편을 떠올리며 안절부절못했고, 「해방촌 가는 길」의 기애는..
행복이 이렇게 사소해도 되는가 | 강진이 | 수오서재 소박하고 자잘한 기쁨이 조용히 이어지는 날들, 삶을 수놓은 행복과 감사를 채집하는 그림일기 안온하게 감싸 주는 이 기분은 무얼까. 강진이 작가의 글과 그림을 만나보면서 내내 그 생각이었다. 그야말로 일상 곳곳에 숨어 있는 행복을 알아채고 감사할 줄 아는 이만이 누릴 수 있는 기쁨을 그녀는 분명하게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그녀가 정성껏 그리고 쓴 그림일기 안에서 나 역시도 평범한 일상 속 작은 행복을 새삼 일깨우며 따스함을 양껏 느낄 수 있었다. “오늘 하루 이 모든 아름다움에 감사해(p.211)”야지. 눈부신 오후에 누리는 여유로움에 감사하다. 잠깐의 산책도 마지막인 듯 최선을 다해 즐기는 강아지 달님이에게, 서로 믿고 의지하며 무럭무럭 힘을 내 자라는 빨간 담쟁이에게, 풀 한 포기를 사랑으로 바라보..